★자동세제 투입기능 정리★
바야흐로 로봇이 인간을 대체할 만큼
편리해진 세상에 세탁기가 적절한양의
세제를 투입해주는 기능은 그리
놀랄만한 기능도 아닐것이다
드럼세탁기는 모두가 알다시피 일반세탁기보다
물을 훨씬적게 사용한다
그렇다보니 일반세탁기용 세제를 사용시
너무많은 거품으로 5번의 헹굼만으로는
세제찌꺼기가 많이 남게되어
반드시 드럼전용세제를 사용해야만 한다
드럼전용세제는 세척력이 우수할 뿐만아니라
거품을 적게 만들어 물이 적게 투입되는
드럼세탁기 세척에 적합하도록
만들어진 세제이기 때문이다
다만, 오늘 알아볼 자동세제투입 기능의경우
조금더 자세히 들여다볼 필요가 있다
※자동세제투입기능(오토 디스펜서)
세제함에 전용세제를 꽉채워놓으면
세탁기가 빨래할때마다 세탁물의 양을 파악하여
적절한 양의 세제를 투입해주는 기능으로,
적정량의 세제 투입으로 세제를 아낄수있고
세제찌꺼기에 대한 부담도 줄여주며
세탁시마다 세제를 넣는 번거로움도 개선해주어
프리미엄 세탁기에만 적용되어 있는 기능이다
이렇듯 비싼 제품에만 들어가 있는
자동세제투입기능이지만
제대로 알고써야한다
LG드럼세탁기 세제투입함의 사진이다
동그라미 쳐놓은 문구를 자세히 보면
고농축 및 젤타입의 세제는 사용하지
말라는 문구가 눈에 띈다
이게 무슨말이지??
요즘 대부분의 드럼세제는 고농축의
액체세제인데 고농축세제는 사용하지 말라니
도무지 이해가 되질 않는다
가전1타강사가 그이유를 자세히 알아봤다
알아보니 LG 드럼세탁기의 경우 빨래의 무게를 감지후
세제를 투입할때 사진 아래의 검은색 노즐안에서
세제가 정해진 시간만큼 오픈되어 투입된다
즉, 세제의 종류와 농도를 인식하거나 제어하지는
못하기때문에 고농축의 세제를 사용시 정해진 양보다
훨씬많은 양의 세제를 투입하게 되는것이다
이해가 쉽도록 예를 들어보자면
빨래의 양이 5kg인경우 세탁기는 세제투입 입구를
1초동안 오픈하여 세제를 투입후 도어를 닫고
빨래양이 10kg인경우 2초동안 오픈하여 세제를
투입하는 방식인것이다
빨래의 무게에 따라 세제의 양을 제어하는 방식으로
고농축방식의 경우 제어가 무의미해 지는것이다
그래서, 삼성제품도 한번 살펴봤다
삼성제품의 세제투입함에는 고농축제품의 사용금지
문구가 전혀없었다
자세히 알아보니 삼성 드럼세탁기에는 세제의 농도를
설정하는 기능이 탑재되어 있었기 때문이었다
위사진처럼 부가기능에 들어가서 세제종류를 클릭한다
투입량을 선택하여 농축도를 선택할수 있다
설정할수 있는 농축도는 일반/2배/3배 이렇게
총 3단계로 나뉘어져 있다
내가 사용하는 세제의 뒤편을 보면 농축도가 표시되어있어
해당기능에 맞게 설정하면 끝인것이다
좀더 쉬운방법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삼성어플인 스마트싱크 기능을 활용하는 것이다
어플은 켠후 세제뒤의 QR코드를 입력하면 세탁기가
알아서 자동으로 설정해주는 기능이 있다
LG와 삼성의 자동세제 투입기능에 왜이렇게
큰 차이가 발생하는건지 생각해봤다
가전 1타강사가 내린 결론은 이렇다
삼성의 자동세제 투입기능은 벌써 10년전부터
탑재되어 있던 기능이다
그만큼 부족한 부분들을 개선하여 보완했던 것이다
다만, LG제품은 그동안 자동세제 투입기능을
탑재하지 않다가 이번에 새롭게 적용하다보니
다소 아쉬운 부분들이 노출된 것이라 판단된다
이 기능만으로 삼성 드럼세탁기가 더 좋다는건 아니다
다만 자동세제 투입기능에 있어서 만큼은
LG보단 삼성이 한발 앞서있는것은 확실한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