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덕션 알아보기 (원리부터 설치조건 추천모델까지)

인덕션 집중탐구!!

 

안녕하세요~

가전 1타강사 입니다

 

더운날씨에 주방에서 간단한 요리라도 하면

땀이 줄줄 흐르죠?

무더운 여름에 가스불을 켠다는건

정말 끔찍한 일인거 같습니다

 

오늘은 불을 켜지않고 요리가 가능한 인덕션렌지에 대하여

자세히 강의해 드리고자 합니다

바로 시작해볼까요?

 

◆목차

1.인덕션이란?

2인덕션의 장점

3.인덕션 설치가능조건

4.인덕션 전기요금

5.인덕션 추천모델

 

 

1.인덕션이란?

 

인덕션을 설명드리기 전에 개념정리부터 해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전기렌지를 그냥 인덕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은데요

정확하게 정리해드리자면

 

전기렌지는

하이라이트 방식과 인덕션 방식으로 나뉩니다

먼저 하이라이트를 설명 드리자면

네이버 출처 하이라이트 방식

위사진처럼 상판을 뜨겁게 달구는 방식을 의미합니다

장점은 상판 자체가 뜨거워지는 방식이다보니

용기의 제한이없이 아무냄비나 올려놔도

작동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단점은,예열하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며

당연히 전기소모도 많아지고, 상판이 뜨거워지다보니

화상이나 화재의 위험또한 높아집니다

 

다음으로 인덕션방식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네이버출처 인덕션 코일방식

인덕션은 유도가열 방식으로 전자기장을 이용하여

전도체에 열을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가열판 아래에 코일이 감겨져있는 방식으로 코일에 흐르는

자기장이 냄비와 부딪혀 열을 발생시킵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전류를 통하여 냄비만 뜨겁해 해주는 방식인겁니다

장점은 하이라이트보다 열효율이 높아 전기료 절약할수있으며

상판이 뜨거워지지 않아 안전하고, 강한화력으로 맛있는 음식조리가 가능합니다

(참로로 열효율은 인덕션 90% / 하이라이트 65% / 가스렌지 40% 입니다)

 

단점은 인덕션 전용용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자기장을 이용한 열전달 방실이기 때문에 자석에 붙는 용기를 사용해야합니다

많이 사용하는 양은냄비나 사기재질로 된 뚝배기 그릇은 인식을 못합니다

 

인덕션은 사용하고 싶은데 집에  보관중인 많은 냄비와 후라이팬이

인덕션에서 사용못하여 아깝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을 위해

하이라이트와 인덕션을 합쳐놓은 하이브리드 방식도 출시되었습니다

블로그참조 하이라이트 방식

3개의 화구중 1구만 하이라이트방식 나머지 2구는 인덕션 방식으로

제작된 방식이 하이브리드 방식입니다

 

2.인덕션의 장점

위에서 언급드렸듯이 인덕션은 모든면에서 월등합니다

 

첫번째 장점은 강한화력입니다

작동시키자마자 열이 가해져 1리터의 물을 끓이는데 1분30초 정도면 충분합니다

가스렌지보다 거의 2배빠른 속도입니다

시간이 빠르다는건 화력이 세다는 이야기인데 화력이 세지면 당연히 음식을

맛있게 조리할수 있다는 얘기가 됩니다

예를들어 라면을 끓인다고 가정시 스프를 넣거나 계란을 넣을때

화력을 좀 줄이고 넣어야 할만큼 강한 화력이 방출되고,

열도 상판 중앙부분이 가장 강하므로 냄비 바깥부분에서 부터 기포가 올라오는

가스렌지보다 훨~씬 빠르고 맛있게 조리가 가능합니다

 

두번째 장점은 안전입니다

불이 점화되는 방식이 아니므로 조리시 실수로 옆에있는 전도체에

불이 옮겨붙을 가능성이 제로이며,

주부 페암환자중 90% 이상이 비흡연자라는 조사결과는

가스렌지 점화시 발생하는 엄청난 유해성분으로 인해

가스렌지 사용이 폐암발생의 원인이 된다고 지목받고 있습니다

매직 홈페이지 참조

또한 온도 센서로 인해 온도가 과열시 전원자동차단으로

화재의 위험성이 굉장히 낮습니다

매직 홈페이지 참조

매직 홈페이지 참조

여러가지 안전장치로 안심이 됩니다

 

세번째 장점은 청소가 용이하다는 점입니다

 

대부분의 인덕션렌지는 강화유리 재질로 되어있기 때문에

상판청소가 매우매우 간편합니다

물티슈로 닦아내면 끝~~

 

하이라이트 제품의 경우 상판이 뜨거워지는 방식이기 때문에

오랜시간 사용시 하얗게 그을음이 생기는 경우가 많은데

인덕션은 살짝 그을음이 생겨도 쉽게 닦아낼수있습니다

(제품 구입시 상판청소용 칼날이 동봉되어있습니다)

 

 

3.인덕션  설치가능조건

매직 홈페이지 참조 가스차단

기존에 가스렌지 사용했던경우 중간 밸브를 제거후 막음작업을 반드시 진행하여야 합니다

이부분은 인덕션 설치기사가 작업해주지 않습니다

지역 도시가스 업체(삼천리 도시가스나 중앙도시가스 등등)에 전화하셔서

밸브제거후 막음작업을 한뒤 가스요금 정산을 하시면 됩니다

비용은 대략 1~2만원정도 하는데 이돈 아끼려고 직접하셨다가는

추후 화재발생시 변상해야하는등 큰 문제가 발생할수 있으니

반드시 업체에 요청하세요

매직 홈페이지 참조 타공치수

전기렌지의 경우 대부분이 싱크대에 빌트인으로 설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싱크대에 빌트인으로 설치하려면 타공사이즈가 보통 560 X 480 사이즈로 구멍이

뚫어져 있어야 합니다

(일부모델의 경우 10mm 정도타공사이즈가 다를수 있으나, 거의 대부분이 규격사이즈입니다)

 

설치환경상 빌트인 설치가 어려운경우에도 설치는 가능합니다

기존 가스렌지 사용하던 공간에 거치대를 연결하여 가스렌지 사이즈처럼 사용이 가능합니다

매칙 홈페이지 참조 스탠딩케이스

스탠딩케이스는 유료입니다

이렇듯 공간에대한 설치는 문제가 거의 없는데

설치지 주의하실점은 전기렌지만  전용으로 꽂은 콘센트가 있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전기렌지의 경우 꽤나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하는 경우가 있어서

문어발식 멀티탭 사용은 위험하고

단독으로 콘센트에 꽂아야합니다

설치불가 사유는 바로 이부분에서 발생합니다

 

 

4. 인덕션 전기요금

가장 걱정 많이하시고 그만큼 문의도 많은 부분인데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큰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

요즘 출시되는 인덕션 모델의 경우 최대전력이 3,400W 입니다

매일같이 하루 1시간을 풀파워로 사용해도 전기요금은 9,620원입니다

티스토리 참조 전기요금 계산내역

티스토리 참조 전기요금

매일같이 최대 강도로 1시간 이상을 사용하는 경우가 보통 많지 않습니다

더군다가 앞서 설명드렸듯이 인덕션의 경우 화력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시간이

훨씬더 짧아집니다

동일시간만큼 가스렌지 사용시 가스요금이 대략 5천원 이상이 나온다고 하니,

결국 인덕션렌지 사용하셔도 한달에 5천원정도 더 낸다고 보면 됩니다

 

가전 1타강사인 저도 물론 인덕션 사용중이지만,

전기요금의 차이를 많이 느끼지 못하고 있고

편리성과 만족도는 기대이상입니다

 

물론, 주구장창 곰탕 끓이시는 분들은 (하루 사용시간이 5시간 넘어가는경우)

인덕션 사용으로만 전기요금이 5만원정도 추가될수 있으니, 참조바랍니다

<참고로 전기세 무섭다고 에어컨도 안트시는 우리엄마 이번에

인덕션으로 바꿔드렸는데 전기세 차이없다고 만족해 하시더라구요^^

 

 

5.인덕션 추천모델

마지막으로 인덕션 추천모델입니다

제가 가전 1타강사라는 타이틀로 글을 쓰는 이유는

제가 느낀 경험과 지식으로 제품의 장단점을 정확하고 객관적으로

알려드리고 싶어서입니다

 

입문자용으로 가장적당한 메이커는 SK매직입니다

일단 가장 전통적으로 안정적인 회사구요

주요 사업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잘나온 제품이 하나있어서 들고 와봤습니다

매직 홈페이지 참조

ALL Power 인덕션 모델입니다

올파워….

올파워 사진

화구도 4개나 있는데 모든 화구에서

우리나라 최대 화력인 3,400W 의 출력이 가능하다는 겁니다

뭐 소름돋을 정도의 기능은 아닌데 모든화구에서 강한 화력이 가능하다는건

분명한 장점입니다

플렉스존 설명사진

그리고 플렉스존…

2개의 화구를 하나처럼 통째로 사용이 가능하게 하는 방식입니다

길쭉한 냄비나 긴 후라이팬 사용시 매우 유용하다고 합니다

(전 그런 냄비가 없어서 안써봤어요 ㅋ)

 

가전 1타강사의 원픽추천 모델인 이유는 금액인데요

최대화력 올파워기능에 + 4구 화구 + 플렉스존 기능까지…

게다가 색상도 사하라블루 라는 고급스럽고 흔하지 않은 외관에

독일에서 생산한 상판 사용…

 

매우만족스러운 스펙인데 가격이 100만원 미만입니다

추천드릴만 하죠?

이상 가전 1타강사의 오늘 강의는 마치겠습니다

인덕션으로 바꾸고 건강과 안전까지 챙기셨으면 합니다

오늘도 좋은하루 되세요~!!

 

Leave a Comment